2025년 3월 28일 금요일 현대자동차 그룹은 통합 소프트웨어 브랜드 '플레오스(Pleos)'를 선보였다. 현대자동차는 모빌리티 테크 기업으로의 전환을 본격화했다.
모빌리티 테크 기업으로 Foundamental 전환은 제네시스와 현대자동차에서 사용하는 ccNC, ccIC 와 같은 기존 카 인포테인머트 시스템은 단종을 선언하는 것과도 같았다.
Pleos는 2026년 상반기부터 차량에 탑재 예정이며, Pleos에는 AI가 탑재되어 사용자의 맥락에 맞는 대답과 제안을 한다. 2027년에는 룰베이스가 아닌 레벨 2+의 자율주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시는 COXE에서 단 하루만 진행했으며, 7500명 이상의 관람이 있었다. Keynote 에는 Pleos를 통해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위해 현대 자동차 그룹과 기협 협력을 맺은 삼성, 구글, 쏘카, 우버, Unity, 네이버 가 있었다.
본 발표 내용은 4월 중에 온라인 스트리밍으로 공개한다고 한다.
Pleos는 ‘더 많은’을 뜻하는 라틴어 ‘Pleo(플레오)’와 운영체제의 약자인 ‘OS(Operating System)’의 합성어로, 사람과 사물의 이동에 사용자 중심 가치를 더해 기술을 진화시키고 더 나은 이동을 실현하겠다는 현대자동차그룹의 비전을 담고 있다.
Software-defined everything 자동차가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변한것임을 공식화하고 그에 맞는 환경을 선보였다.
비유하자면 스마트 폰에 바퀴가 달린 것이다. OS 업그레이드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를 오픈해 서드파티에서 안드로이드 폰앱을 차량용으로 빠르게 확장하고 차량 환경에 최적화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Plug&Play로 자동차에 새로운 가젯을 쉽게 추가할 수 있게 되었다.
하드웨어적인 측면과 소프트웨어적인 측면과 두가지로 소개하려고 한다. 우선 소프트웨어가 올라가는 하드웨어를 소개한다.
[!note]
기술 용어:
- Pleos(플레오스) 현대 자동차 소프트웨어 브랜드
- Pleos Vehicle OS: 플레오스 OS
- AAOS(Android Automotive OS): 안드로이드 OS
- Pleos Connect: 플레오스 인포테인먼트
- Pleos Playground: 개발 환경 (개발 SDK 제공)
- NUMA: 차세대 도시 교통 협의체(민관 협력을 통해 교통과 이동 문제 해결)
- CODA: H/W 아키텍처 명
- HPVC(High-Performance Vehicle Computer): 메인 컴퓨터
- Gleo AI: 글레오 AI, 플레오스의 AI 에이전트 명; (e.g. 글레오 라디오 켜줘)
- Atria AI: 자율주행 AI (2027, Atrial AI를 탑재한 레벨2+ 출시 예정)
- Capora AI: 42dot 운송 관리 솔루션
1. 하드웨어
하드웨어 아키텍처명 CODA이다. 지금까지는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에 종속되어 있어 기능을 추가할 때 마다, 새로운 제어(ECU, Electronic Control Unit)가 추가되었다.
CODA Architecture는 기존 설계를 단순화, 확장할 수 있게 표준화했다. 데이터 센터와 유사하게 기존의 기능 중심이 컴퓨터 도메인과 I/O 도메인으로 나눠서 설계했다. 이를 통해 기존 하드웨어 컨트롤러의 66%를 제거했다고 한다.
CODA는 3개의 Zone에서 컨트롤러가 I/O 를 담당한다. 그리고 나머지 모든 처리는 HPVC(High-Performance Vehicle Computer)가 처리한다.
쉽게 말해 매우 단순한 동작을 하는 독립형 장치의 IC칩에 SW가 임베디드되어 변경할 수 없고, 차량에 흩어진 장치들을 다시 통신하기 위해 매우 복잡한 형태였다. 이제 S/W와 H/W를 분리한 것이다.
2. 소프트웨어
Vehicle OS
Vehicle OS(In-Vehicle distributed OS)는 AAOS(Android Automotive OS)를 기반으로 한다.
Rust 언어 사용 (소프트웨어 에러 이슈의 70%는 메모리 관련 버그)
소프트웨어 구현시 취약성 보안
Pleos Connect
새로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명은 Pleos Connect이다. Pleos Connect는 2026년 2분기에 출시하는 신차부터 적용 예정이다. Pelos는 3개의 컬럼을 사용하고 있다. 가장 왼쪽은 클러스터와 센터페시아와 같은 일을 한다. 우측 2개의 컬럼은 주행 중 정보이다.
화면은 16:9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레이아웃은 Pleos에서 플랙서블하게 맞춰준다고 함 (이는, Android의 support-different-display-sizes와 같은 개념이다.) 플레오스 개발자 사이트에 디자인 가이드가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디자인 가이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https://pleos.ai/playground/resources/docs/docs-design-pleos/intro)
Pleos Playground
Pleos Playground는 현대자동차그룹이 SDK문서, 샘플 코드, 개발 지원 도구는 물론, 실제 차량 없이 앱을 개발 및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과 디버깅 도구 등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개발자들의 개발 편의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AAOS가 제공하는 개발도구와 Pleos만의 확장 기능과 서비스를 SDK를 통해 제공한다. 디자인 가이드, API 문서, 샘플 코드 등도 함께 제공돼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앱 개발자의 경우 기존 안드로이드 앱을 빠르게 Pleos로 포팅할 수 있다. 전시회에 참가한 업체 중 기존 서비스 Pleos에 최적화한 것이 아닌 포팅한 수준에서 전시한 경우도 있었다.
또한 앱 마켓을 운영해 앱을 등록하고 심사를 거쳐 배포할 수 있게했다. JOSN과 같은 형태로 Gleo AI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등록 심사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을 것이라고 한다.
스마트폰 시장 초기에 폭발적으로 다양한 앱과 가젯(Gadjet)이 나왔듯 Pleos 앱 마켓이 열리면 다양한 앱과 가젯 출시를 기대한다.
Gleo AI
Gleo AI
- 맥락 인식
- 사용자의 선호도와 패턴을 인식
- 자연스러운 응답
- Supports 2 tones (friendly, formal) x 4 emotions (Neutral, Positive, Urgent, Sad) x 6 voice options
- Natural conversation mode without wake-up words
- Human-like response speed at 1560 tokens/s
- RAG responses enhanced with third-party app data
- Builds memory through repeated interactions and stores it persistently
전세계 스마트폰 사용자 6.64B 자동차는 또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모바일 생태계에 편입,
모바일 폰과 유사한 인터페이스 제공으로 학습 곡선을 낮추고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던 앱을 차량에서도 사용
Samsung SmartThings
- SmartThing
- Find: Galaxy: 쇼핑몰 주차장 갤럭시 네트워크를 사용한 내 자동차 찾기
- Energy: 에너지 사용 최적화
- Car to Home: 집 귀가에 맞춘 실내 환경 최적화
- Home to Car 집과 차량과의 경계를 넘은 통합된 라이프 스타일 제공 차량, 가전, 집을 넘나드는 새로운 서비스.
- 디바이스 모니터링과 제어를 넘어 에코스템을 통해
- 자동차 생활 공간
- 연결은 넘어 사용자의 맥락을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공간, 자동차와 스마트 홈이 하나의 유기적인 경험으로 이어지는 것.
모바일에서 경험이 자연스럽게 차량으로 이어지길 바람 > 앱 마켓 제공
AAOS
NUMA(Next Urban Mobility Alliance)
NUMA는 현대자동차의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생태계를 위한 협의체이다. 도시·국가 단위의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협력 체계로 교통약자 지원, 지방 소멸 대응, 기후 위기 등 사회적 문제 해결을 목표로 민관 협력을 통해 데이터 연결 기반의 최적화된 이동 환경을 구현하고자 하는 생태계 구축을 목표한다.
자율주행과 기타 파트너쉽
현대차는 완성차 기술 노하우를 웨이모 우버와는 전략적 파너트너로 주행 데이터를 함께한다. 네이버, 쏘카는 자사 서비스를 플레오스에 최적화한 것을 시연했다.
네이버
Atria AI
Uber
참고 자료: